
논리 회로와 컴퓨터 구조 논리 회로 (Logic Gate) : 부울 대수를 물리적 장치에 구현한 것. 하나 이상의 논리적 입력값에 대하여 논리적 출력값을 얻는 전자 회로. 부울 대수 (Boolean Algebra) : 참과 거짓을 1과 0에 대응시켜 명제와 명제 간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방법. : AND는 곱 연산, OR는 합 연산, NOT은 Bar를 씌워주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. : 교환법칙, 결합법칙, 분배법칙이 성립한다. 게이트 (Gate) : AND, NOT, OR, XOR등 기본이 되는 논리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게이트. 응용 회로 1. 가산기 (Adder) : 덧셈을 하도록 하는 논리 회로. - 반가산기 (Half Adder) : 두 bit를 더하는 가산기. Sum값과 Carry값..

컴퓨터의 구성 요소와 폰 노이만 구조 컴퓨터의 구성 요소 중앙 처리 장치 (CPU; Central Processing Unit) 1. 산술 논리 장치 (ALU; Arithmetic and Logical Unit) : 사칙연산 등의 산술 연산과 AND, OR, XOR등의 논리 연산을 하는 디지털 회로. 2. 제어 장치 (CU; Control Unit) : 프로세서의 조작을 지시, 입출력 간 통신 및 조율, 명령어 해석 등을 수행. : I/O Devices, Memory, ALU를 모두 이곳에서 제어한다. 기억 장치 (Memory) 1. 레지스터 (Register) : CPU에 위치한 고속 메모리. 극히 소량의 데이터를 저장. 2. 캐시 메모리 (Cache Memory) : 속도가 빠른 장치와 느린 장치 간..

베이즈 정리(Bayes' Theorem) 베이즈 이론 : 어떤 사건이 배반하는 원인 2개에 의해 일어난다고 할 때, 실제 사건에서 이 둘 중 하나가 원인일 확률을 구하는 것 활용 - 검사 결과 양성과 병에 걸릴 확률 사건 E는 양성, 사건 F는 병에 걸릴 확률이라 할 때, 양성일 때 병에 걸릴 확률 P(F|E)를 구하면? · F는 10만 명 중 한명이 걸리는 질병 · 병이 있는데 양성일 확률 99% · 병이 없는데 음성일 확률 99.5% 사건 E는 양성 음성으로 이분화될 수 있으므로 베이즈 정리를 이용하면 즉 양성일 때 병이 걸릴 확률이 0.002이므로, 양성 검사가 불확실함을 알 수 있다.

백준 13460번 : 구슬 탈출 2 등급 : Gold I 13460번: 구슬 탈출 2 (acmicpc.net) 13460번: 구슬 탈출 2 첫 번째 줄에는 보드의 세로, 가로 크기를 의미하는 두 정수 N, M (3 ≤ N, M ≤ 1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 보드의 모양을 나타내는 길이 M의 문자열이 주어진다. 이 문자열은 '.', '#', 'O', 'R', 'B' www.acmicpc.net 사용 알고리즘 : BFS 사용 자료구조 : Vector, Queue BFS를 이용해 최단 거리, 4차원 Visit 배열(빨간 공, 파란 공 각각의 좌표)을 이용하여 해결. 고려해야 할 요인이 꽤 많은 문제였다. 공이 굴러간 위치를 어떻게 지정할까 고민하다 같이 끝까지 굴리고 이후에 겹칠 경우 위치를 다시 ..
비둘기집 이론(Pigeonhole Principle) 비둘기집 이론 : n개의 비둘기집에 n+1마리의 비둘기를 나누어 넣는다면, 적어도 한 집에는 2마리가 들어간다는 이론 증명 - 모순 증명법(Contradiction) p : 비둘기집(x)이 n개, 비둘기(y)가 k마리라면 (k ≥ n + 1) q : 적어도 한 집에는 두 마리 이상이 들어간다 Contradiction : ¬(p→q) = p∧¬q 즉, p이고 q가 아니면 거짓이다를 증명하면 비둘기집 이론 성립. ¬q : 한 집에는 비둘기가 1마리 이하이다. 한 집에 비둘기가 한 마리 이하라면 총 비둘기 수 k는 k ≤ n이 된다. 이때 p의 조건에서 k ≥ n + 1이라는 조건이 있었고, 이는 true이기에 동시에 성립할 수 없음. 모순이 일어나므로, ..